매일신문, '2조 규모 경북 3대 문화권 혈세 줄줄' 심층보도
매일신문, '2조 규모 경북 3대 문화권 혈세 줄줄' 심층보도
  • 대구경북기자협회
  • 승인 2019.04.01 12: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년 4월 1일자 매일신문.
2019년 4월 1일자 매일신문.

매일신문은 4월 1일자 신문에서 경북 3대 문화권 사업과 관련, 문제점을 집중 지적했다.

2008년 제2차 국가균형발전전략회의에서 국책사업으로 선정된 3대 문화권 사업은 경북의 유교·가야·신라자원과 낙동강·백두대간 등 생태자원을 활용, 관광 자원화해 지역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2조 규모 '경북 3대 문화권' 혈세 줄줄

매일신문이 1면 헤드라인으로 보도한 <2조 규모 '경북 3대 문화권' 혈세 줄줄>이란 기사에 따르면 2조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돼 진행 중인 경북 3대 문화권 사업이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대규모 시설물이 속속 완공되고 있지만, 열악한 시군 재정 상황에서 한 해 수억원의 운영비를 감당하기 힘든 데다 어렵게 운영을 시작했더라도 방문객 유치에 애를 먹고 있기 때문이다는 설명이다.

31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23개 시군 43개 3대 문화권 사업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국비 등 1조9천688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현재까지 10개 사업을 완료했으며 오는 2021년까지 사업 대부분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문제는 시군이 완공된 대규모 시설물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2018년 개관한 청도군 신화랑 풍류마을은 지난해 3억원에 가까운 적자를 봤고, 성주 가야산역사테마공원은 하루 방문객이 40여 명 수준에 그쳐 2천원인 입장료를 올해는 받지 않는 등 자구책을 찾고 있다.

앞으로 사업 완료를 앞둔 시군도 걱정이 태산이다. 군위군은 국비 등 1천223억원이 투입된 삼국유사 테마파크의 8월 시범 운영을 앞두고 매년 50억원 이상의 운영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경북도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안동시 역시 세계유교선비문화공원 등 5개 사업에 4천억원에 가까운 사업비가 투입되고 있는데 시설 완공 후 한 해 운영비가 60억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여 민자유치 등 대책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를 두고 예견된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손쉬운 부지 확보 등을 이유로 주로 시군 외곽지역에 만들어 접근성이 떨어지고, 시설 규모는 너무 큰 데 전략적인 운영 계획은 미비해 적자라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박창석 경북도의원은 "2조원이 투입될 3대 문화권 사업이 완료를 앞두고 있지만, 중복되고 무계획한 사업 추진 및 사후 운영, 관리 대책 부실로 시군에 재정·행정적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면서 "관광객을 끌어들일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등 3대 문화권 사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경북도 차원의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적자의 수렁'…경북 3대 문화권 사업

매일신문은 이날 3면 관련 해설기사에서 <'적자의 수렁'…경북 3대 문화권 사업>에 대해 심층 분석했다.

기사에 따르면 3대 문화권 사업은 경북의 유교·가야·신라 등 역사문화자원과 낙동강·백두대간권의 친환경 녹색자원을 '관광 자원화하겠다'는 비전을 품고 시작됐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경북 43개 사업에 1조9천688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현재 10개 사업이 완료된 상태다.

이는 2008년 9월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2차 국가균형발전전략회의에서 선정된 국책사업으로 30대 선도프로젝트 중 유일한 '비(非)SOC' 사업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현재는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 지방자치단체 재정을 위협하는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

청도군 운문면에 2018년 문을 연 신화랑 풍류마을은 지난해 3억원에 가까운 적자를 봤다.

이곳은 '신라시대 화랑 수련장이 있었다'는 사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숙박체험마을로 29만7천400㎡ 부지에 화랑촌(숙박시설)과 캠핑장, 화랑정신기념관 등이 조성돼 있다. 공사 기간 국비와 지방비 등 610억원가량이 투입됐다.

하지만 개관 첫 해인 지난해 방문객은 2만8천133명으로 수익은 3억8천100만원 수준이었다. 운영비에 6억7천300만원이 투입된 점을 고려하면 3억원에 가까운 손실을 본 셈이다.

풍류마을 관계자는 "올해 목표 수입액은 5억원으로 흑자를 내려면 5년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수입 확대를 위해 공공기관과 기업체, 학교 등 단체 고객 유치를 위해 방문 홍보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국비 등 127억원을 투입, 2017년 9월 운영을 시작한 성주 가야산역사신화테마관도 사정은 비슷하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던 성주군의 바람과 달리 찾는 관광객이 많지 않아 썰렁하다.

성주군에 따르면 지난해 방문객 수는 1만5천여 명으로 하루 평균 40명 수준에 불과했다. 2천원인 입장료를 고려하면 운영비 2억7천만원에 턱없이 모자란 수입이다. 군은 운영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보고 올해부터는 입장료를 아예 없앴지만, 방문객 증가는 실감하기 어렵다.

도심과 멀어 접근성이 떨어지는 데다 관광객을 끌어당길 특별한 볼거리도 없기 때문이다. 한 성주군민은 "시설물과 볼거리를 보완한다고 하는데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라며 "깊은 고민 없이 추진한 결과 예산 먹는 시설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했다.

지난달 29일 공식 개장한 영천 한의마을도 관리비 부담이 상당할 것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영천시가 지난해 의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한의마을 운영 시 인건비와 공공운영비, 유지관리비 등에 연간 4억9천200만원 정도가 든다. 하지만 임대시설 사용료, 전시관 입장료, 한옥체험관 사용료 등 수입은 2억9천200만원 정도로 추정돼 연간 2억여원의 적자가 예상됐다.

시 관계자는 "지방공기업평가원에서 운영수익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5년간 누적 적자가 14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돼 예산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다.

안동시는 5개로 경북지역 최다 3대 문화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유교문화컨벤션센터(박물관)와 한국문화테마파크, 선성현 문화단지, 유림문학유토피아(이육사기념관 증축), 길삼마을(임하 금소 안동포타운) 사업이 추진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애초 4천400억원 규모였던 총사업비는 낙찰 차액 등을 정부에 반납하면서 줄었지만, 여전히 3천908억원에 달한다.

뭉텅이 예산이 드는 만큼 운영비도 막대하다. 안동시가 운영비 연구용역을 한 결과 매년 64억원이 지출될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실제 운영을 하면 더 많은 예산이 필요할 전망이어서 시는 정확한 운영비 산출을 위해 다시 연구용역을 하고 있다.

안동 외곽 지역에 3대 문화권 시설물이 주로 위치해 관광객 유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목소리도 끊이지 않는다. 시가 감당하기 어려운 대형 건축물이 지어지고 있지만, 운영 주체와 구체적인 운영 계획 마련은 더디기만 하다.

안동시는 우선 민자 유치를 통해 운영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안동시 관계자는 "한국문화테마파크는 민간위탁으로 운영비를 줄이고 세계유교문화컨벤션센터는 대기업 대상 호텔 등 숙박시설 유치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기업 유치를 통한 수익 보장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