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칫돈 지원도 허사…3년 만에 73% 폐업
뭉칫돈 지원도 허사…3년 만에 73% 폐업
  • 대구경북기자협회
  • 승인 2019.05.20 0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신문, 허울뿐인 ‘청년상인 육성사업’ 시리즈 보도 스타트

대구신문은 정부와 대구시가 ‘청년상인 키우기’에 각종 청년상인 육성지원 정책을 펼쳤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를 연속 보도했다.

정부와 대구시가 ‘청년상인 키우기’에 각종 청년상인 육성지원 정책을 펼쳤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대구신문은 5월 20일 자 1면에 <뭉칫돈 지원도 허사…3년 만에 73% 폐업>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대구신문 보도에 따르면  대구시는 전통시장 활성화와 청년 창업 지원 등을 위해 79억여 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청년상인 키우기에 나섰다.

시는 지난 2016년부터 3년간 중기부 공모사업인 전통시장 청년상인 육성사업을 통해 대구 북구 동대구시장, 서구 신평리시장, 달서구 두류종합시장, 서구 서부시장 등 4곳의 전통시장에 청년가게 입점을 지원했다.

전통시장의 빈점포를 청년상인에게 입점할 기회를 제공해 초기 창업자금과 홍보마케팅이 부족한 청년상인을 지원하고 낙후된 전통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자는 윈윈전략을 내세운 것.

하지만 현장을 취재해 보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당초 의도와 현실은 너무나 차이가 컸다. 이 사업을 주관한 중기부는 사업 종료를 이유로 이미 이 사업에 관심을 거뒀고, 업체 선정과 예산 집행을 해 온 지자체는 사후 관리에 손을 놓고 있는 상태다.

◇사업 파악조차 못하는 대구시

사업 취지와는 달리 청년가게 대다수가 문을 연지 1년 만에 폐업을 선언하고 시장을 떠났다. 19일 대구시는 총 37개 점포 중 17개 점포만이 영업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실제는 이와 달랐다.

대구시가 영업하고 있다고 밝힌 점포 중 아예 모든 것을 정리하고 떠난 가게를 내놓았거나 영업을 중단한 가게도 있었다. 곧 가게 문을 닫을 예정인 곳도 있다.

이를 고려하면 실제 영업하고 있는 곳은 10곳뿐이었다. 폐업률이 73%(27곳)에 달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16년 5월 문을 연 대구 청년시장 1호점인 북구 동대구시장의 ‘청춘장’은 11개 점포 중 8개 점포가 문을 닫았다. 단 세 곳만 영업 중이다.

다른 곳도 사정은 비슷하다. 그해 8월에 문을 연 서구 신평리시장은 10곳 중 2곳만 운영 중이다. 2017년 5월에 조성된 달서구 두류종합시장 내 청년상인몰 ‘두유청춘’은 6곳 중 3곳만 가게 문을 열고 영업을 이어갔다. 청년몰 중 한 곳은 임대료, 인건비 등의 사정으로 가게 문을 닫고 배달사업으로 사업 방향을 전환했다 곧 문을 닫을 예정인 곳도 있었다.

특히 대구 서구 비산동 서부시장은 문을 연지 1년만에 10개 가게 중 8개 가게가 폐업했다. 총 사업비 2억9천만 원을 투입해 청년점포 임대료, 가게 리모델링, 교육, 홍보마케팅,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청년거리를 조성했지만 대부분의 청년상인이 가게를 버리고 떠난 것이다.

대구시 등 자치단체가 파악하고 있는 사업 진행상황과 현실과는 차이가 너무 컸다.

◇이름만 바꾼 비슷한 사업들만 즐비

이같이 전통시장 청년상인 육성사업이 대부분 실패로 끝났지만 대구시는 청년몰 시장 육성사업, 전통시장 창업인큐베이팅 등 각기 다른 사업의 이름으로 청년상인 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대구 북구 산격종합시장에 다수의 청년 점포를 한 곳에 입점시킨 형태의 ‘청년몰’ 1호가 문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올해 3월에는 대구 달성군 현풍백년도깨비시장에 청년몰 2호를 개장했다. 1년간 각 시장마다 7억5천만 원, 청년몰 당 3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더불어 대구시는 행정안전부의 청년 일자리 공모 사업인 ‘전통시장 창업 인큐베이팅 누구나 가게 운영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 연말까지 사업비 4억9천만원을 들여 북구 산격종합시장 내 2개소, 수성구 동성시장 내 2개소를 조성할 예정이다.

청년상인 육성사업에 참여한 청년점포 중 대다수가 폐업에 이르렀지만 여전히 리모델링비 및 임대료 지원, 홍보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유사한 형태의 지원사업을 내놓자 청년상인들마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청년상인 A씨는 “청년상인을 지원했다는 생색내기용의 정책보다는 실질적으로 청년들이 생존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단순히 임대료, 리모델링비를 지원하는 것은 오히려 무능력한 청년사장을 키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